본문 바로가기

장애와 재활 치료에 대해33

언어치료에 대하여 *언어치료: 지적 장애, 난청, 정서적 문제, 발음 문제나 말더듬증, 자폐증, 뇌 외상 및 간질, 뇌졸중 등의 신경학적 이상의 후유증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발생한 언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임. 특히 언어 발달 지체를 가진 아동의 경우, 표현할 수 있는 단어와 개념이 부족하여 일반 아동들보다 말하는 문장의 길이가 짧고 단순하며 상황에 적절한 대화를 잘하지 못하는데, 이러한 아동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해서 실시한다. 성인의 언어 치료의 경우 주로 뇌 손상이나 신경학적 이상과 연관된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이전에 이미 언어 습득이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주로 발음 교정을 위한 근육운동이나 사물 이름 대기와 같은 재활의 개념으로 치료가 진행된다. 즉, 언어 치료는 언어 발달 지체, 말 더듬, 조음 .. 2023. 1. 2.
케톤 식이요법에 대하여 *케톤 식이요법 1920년경 미국에서 시작된 간질 치료법으로, 지방을 많이 섭취하고,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적게 섭취하여 케토시스 상태가 되게 하는 식이요법입니다. 인체의 에너지원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순인데, 체내에 탄수화물 또는 단백질이 부족하면 지방을 분해해서 에너지원을 얻습니다. 간질(전간)을 치료하기 위해 지방은 많이 섭취하고 단백질과 탄수화물은 적게 섭취하는 식이요법입니다. 이 식이요법은 약으로 경련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약으로 조절되더라도 부작용이 아주 심하거나 평생 투여해야 하는 경우에 약을 끊기 위해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식이요법을 시작한 지 3개월이 지난 뒤에도 경련이 일어나면 중단하거나, 지방 대 단백질·탄수화물의 비율을 6:1이 되게 하여 강력하게 시행합니다. 시작한 뒤 .. 2022. 12. 27.
신생아 뇌경색, 신생아 뇌졸중 신생아도 뇌졸중 발생한다. 2005-06-27 신생아도 성인 못지않게 뇌졸중의 발생률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음. 미국 국립 신경장애 뇌졸중 연구소(ninds)의 존 린치 박사는 연구 보고서를 통해 신생아는 4000명에서 5000명에 한 명 꼴로 생후 1개월 안에 뇌졸중이 발생하며 생후 개월에서 18세까지도 훨씬 빈도가 덜 하지만 30000명에 1명에서 2명꼴로 뇌졸중이 발생한다고 밝힌 것으로 헬스데이 뉴스가 26일 보도했음. 린치 박사는 뇌졸중을 일으킨 신생아의 사망률은 1%에서 2% 미만, 재발률은 5% 이하이며 약 50%는 뇌혈관이 막혀 나타나는 허혈성 뇌졸중이라고 말했음. 신생아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하나 갑작스러운 경련이나 몸의 반쪽, 특히 한쪽 손의 움직임이 약해지는 등의 사전 경고 신호가 나.. 2022. 12. 27.
뇌전증에 대하여 뇌전증이란 무엇인가 뇌전증에 대한 요약은 아래와 같다. 뇌전증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인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만성화된 질환군이라고 한다는 뇌전증은 흔히 간질이라고 불리는 병이며 정의는 간질 자체는 잘못된 용어가 아니지만 사회적 편견이 심하고, 간질이라는 용어가 주는 사회적 낙인이 심하기 때문에 뇌전증이라는 용어로 변경되었음. 비록 용어는 변경되었으나 뇌전증과 관련해서는 명명법 이외에는 바뀐 것이 없으며 진단과 치료에 실질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한다. 뇌전증과 관련된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 1) 뇌전증 발작(epileptic seizure 혹은 seizure) 대뇌 겉질의 신경세포들이 갑작스럽고 무질서하게 과 흥분함으로써 나타나는 신체증상을 의.. 2022.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