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경련제
-뇌전증: 뇌와 신체 작용에 있어 신경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물질을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라고 하며, 크게 흥분성 신경전달물질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나눠집니다.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은 뇌를 자극하는 효과를 보이며,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은 뇌를 진정시키거나 균형을 유지하는 효과를 보입니다. 뇌신경세포가 일시적 이상을 일으켜 과도하게 흥분되면 일시적으로 뇌기능이 마비되어 의식을 잃거나 발작을 일으키는 질환인 뇌전증(간질) 증상이 나타납니다. 항경련제는 뇌의 과도한 흥분작용을 억제하여 뇌전증에 의한 발작의 예방 및 조절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약물 복용을 갑자기 중단하면 발작의 재발 위험이 있으므로 충분한 기간에 걸쳐 서서히 감량해야 합니다. 일부 약물은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하므로 복용 중인 다른 약물이 있으면 반드시 의사나 약사에게 미리 알리도록 합니다.
-발작이란 병 증세가 갑자기 나타났다가 비교적 짧은 시간에 사라지는 것을 말합니다. 뇌전증에서의 발작은 행동이상이나 기억상실 등의 증상으로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경련*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적절한 항경련제를 사용하면 뇌전증 환자의 2/3에서 발작이 조절됩니다. 항경련제는 뇌전증의 발병 원인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하지만 발작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약물의 선택은 발작 유형에 따라 달라지며, 단독요법으로 시작합니다. 한 가지 약물을 최대 용량으로 투여함에도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 약에 두 번째 약을 추가하는 병용요법을 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약으로 바꾸어 단독요법을 시도할 것인지 결정하게 됩니다. 마지막 발작 후 3~5년 동안 발작이 없을 경우에는 치료 중단을 고려할 수 있으며,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면 발작의 재발 위험이 있으므로 충분한 기간에 걸쳐 서서히 감량해 중단합니다.
-경련: 전신 또는 국소의 근육이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급격히 수축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중추신경계 질환인 뇌전증과 뇌종양, 히스테리 등 외에도 전염병이나 각종 중독에 의해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 가바(gamma-aminobutyric acid, GABA): 뇌척수액에 포함된 중추신경계의 중요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뇌의 대사와 순환 촉진작용을 합니다. 뇌내의 GABA 농도가 낮아지면 발작을 유발합니다.
-항경련제는 뇌의 과도한 흥분작용을 억제하여 뇌전증에 의한 발작의 예방 및 조절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신경흥분에 관여하는 나트륨이나 칼슘 이온통로를 차단하거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mma-aminobutyric acid, GABA)*의 활성을 높이거나 흥분성 신경전달을 억제함으로써 뇌의 과도한 흥분작용을 억제합니다.
-항경련제의 종류
항경련제는 화학적 구조에 따라 히단토인 유도체, 이미노 스틸벤 유도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바르비 탈류 바르비 탈류, 탈류, 그 외 기타 화합물로 분류됩니다. 개발 시기에 따라 고전적 항경련제와 새로운 항경련제로 분류되기도 하며, 1990년대 이후 개발된 새로운 항경련제들은 고전적 항경련제에 비해 심각한 부작용이 적고 약물 상호작용이 비교적 적다는 장점을 갖습니다.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프레가발린 라모트리진, 비가 바트린 등이 새로운 항경련제에 속합니다.
-이미노 스틸벤 유도체
이미노 스틸벤 유도체는 신경흥분에 관여하는 나트륨 이온통로를 차단하여 자극의 이동을 막아 발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약물로는 카르바마제핀이 있습니다. 카르바마제핀은 뇌전증 이외에 삼차신경통*, 조증†에도 사용됩니다.
*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얼굴과 머리에서 오는 통각과 온도감각을 뇌에 전달하는 뇌신경인 삼차신경에 병적인 변화가 생겨 얼굴에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 조증(mania):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들떠서 충동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이나 논리적 비약 등이 나타나는 정신적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우울 증상과 함께 나타나 양극성 장애로 진단됩니다.
-히단토인 유도체
히단토인 유도체는 신경흥분에 관여하는 나트륨 이온통로를 차단하여 자극의 이동을 막아 발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약물로는 페니토인, 포스페니토인이 있습니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중추신경계*의 흥분을 감소시키는 신경전달물질인 가바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항경련 작용 외에도 항불안, 진정, 근이완 작용을 나타냅니다. 이 계열에 속하는 디아제팜, 크로버 잠, 클로나제팜은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디아제팜과 크로버 잠은 항경련제 한 가지 약물 사용으로 충분히 안정화되지 않는 뇌전증 환자에게 보조치료제로 쓰입니다.
*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우리 몸의 여러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인 신경정보들을 모아 통합, 조정하는 중앙처리장치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뇌와 척수가 이에 해당됩니다.
† 향정신성의약품(psychotropic substances): 사람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것으로 오용(잘못 사용)하거나 남용(일정한 기준이나 한도를 넘어서 함부로 사용)하는 경우 인체에 심각한 위해가 있다고 인정되는 물질을 말합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 의해 지정되고 관리됩니다.
-바르비 탈류
바르비 탈류는 중추신경계를 억제하고 운동 활성을 감소시켜 진정, 최면 작용을 하며, 고용량에서는 항경련 효과를 나타냅니다. 신경절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의 활성을 높임으로써 발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 계열에 속하는 페노바르비탈은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 외 약물로 프리미돈이 있습니다.
*출처: 약학 용어사전
'장애와 재활 치료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뇌경색, 신생아 뇌졸중 (0) | 2022.12.27 |
---|---|
뇌전증에 대하여 (0) | 2022.12.27 |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하여 (0) | 2022.07.26 |
자폐증에 대하여 (0) | 2022.07.24 |
특수교육에 대하여 (0) | 2022.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