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재활: 인지 재활의 효과는 뇌 손상, 치매, 중증 정신질환 등 신경 및 정신질환 환자들에게 검증되었으며, 우울, 불안과 같은 기분 장애 그리고 인지적 어려움을 지닌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도 효과를 검증받고 있음. 인지 재활은 과학적인 학습 원리를 이용하여 인지적 결함을 향상하고 사회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개입법임(CREW, 2012). 인지 재활을 위한 다양한 개입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 1 대 1 기반 훈련, 그룹 기반 훈련, 특정 인지 영역(예: 기억력)에 초점을 둔 훈련, 다양한 인지 영역에 초점을 둔 포괄적인 훈련(예: 인지 행동 재활 훈련 및 정서 관리 훈련; 이우경, 이혜원, 황태연, 2004), 종이와 연필을 이용한 인지 훈련, 그리고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인지 훈련 프로그램(예: COMCOG, COG TRAINER, PSSCogRehab2012 등) 등이다. 인지 재활은 정신 재활의 큰 맥락에서 실시할 때 더욱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음.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들이 출시되어 있고, 지속적으로 더욱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임. 인지 재활 프로그램마다 장단점 및 기능에서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인지 재활 프로그램들이 공유하는 주요 특성은 (1) 특정 인지 영역에 초점을 둔 훈련이 가능하고, (2) 내담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치료 및 훈련 설계가 가능하며, (3) 내담자의 진척에 따라 치료 및 훈련 계획을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훈련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 다양한 인지 기능의 영역별 및 단계별 훈련이 가능한지를 평가해야 함.
이러한 난이도 조절이나 훈련 프로그램 선택은 치료자가 설정한 규준을 가지고 치료자와 내담자가 합의해서 조절하거나(예: 모리스 벨 박사의 신경 인지 향상 훈련(Morris Bell’s Neurocognition enhancement therapy)), 치료자의 개입 없이 내담자의 수준에 맞춰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예: 웩슬러 박사의 C8 Sciences)이 있음. 이밖에도 인지 재활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 내담자의 동기 및 기능 수준, 치료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내담자 개인에게 가장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함(Medalia, 2008). 인지란 언어의 생성 및 이해, 주의, 기억, 정서의 인식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정신 과정을 의미한다. 인지 재활에서 초점을 두는 인지 능력은 크게 신경 인지 능력과 사회 인지 능력으로 나눌 수 있음.
1) 신경 인지
인지 재활에서 초점을 두는 신경 인지 기능을 간략히 분류하면 다음과 같음.(Nuechterlein et al., 2004).
① 주의: 주의는 순간적으로 외부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 긴 시간 동안 주의를 유지하는 능력,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주의를 옮기는 능력 등을 포함함. 주의는 대부분의 인지기능 및 일상적 활동에 기초가 되는 능력임(Anderson, 2004). 주의 손상은 학생의 경우 수업 시간에 계속해서 집중하기가 힘들다거나, 심각할 경우 짧은 대화 중에도 집중을 유지하기가 힘든 경우,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관심을 옮기는 데 어려운 경우와 관련될 수 있음. 따라서 학업, 대인 관계, 직업 및 다양한 일상생활을 하는 데 매우 기초적이며 중요한 인지 기능임. ② 기억: 기억은 크게 언어 기억과 공간 기억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일상생활에서 사람의 이름, 특정 사건, 또는 특정 장소로 가는 길 등의 언어적/공간적 정보를 부호화하고, 저장하고, 이를 다시 불러오는 등의 일련의 기억 과정에 필요한 능력을 의미함(Anderson, 2004). 기억 능력의 손상은 약속 시간을 기억하지 못하는 등의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부터 학업, 직업 영역에서의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음(Alice Medalia, 2008).
③ 작업 기억: 작업 기억은 일시적으로 특정 정보를 기억 속에 저장하고 있으면서 그 정보를 활용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함(Anderson, 2004). 작업 기억의 예로, 일상생활에서 전화 통화 중 상대방이 불러준 전화번호를 잊지 않기 위해 머릿속에 기억하는 것을 들 수 있음. 작업 기억의 손상은 친구와의 대화 중 대화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등의 일상적 생활에서의 문제부터 학업 및 직업 영역에서의 문제들과 연관될 수 있음. ④ 실행 기능: 실행 기능은 문제 해결, 계획, 시행, 행동의 억제 그리고 사고의 유연성 등으로 구성되는데, 여러 인지 과정을 통제, 조절, 관리하는 인지적 과정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임(Anderson, 2004). 실행 기능의 손상은 문제 해결이나 추론을 요구하는 대부분의 일상 및 직업, 학업적 영역에서 문제점과 연관될 수 있음.
⑤ 처리 속도: 처리 속도는 인지 과정의 효율성, 즉 적은 시간에 정확성을 가지고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임(Anderson, 2004). 처리 속도의 손상은 특정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을 못한다기보다는 그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 문제가 됨. 따라서 직장을 얻고 일을 지속하는 데 문제가 될 수 있음. 2) 사회 인지
사회 인지는 마음 이론, 공감, 정서 인식, 귀인, 사회 지각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사회 인지의 하위 영역들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1) 마음 이론은 타인의 마음을 유추하고 생각하는 능력, (2) 공감은 타인의 감정, 정서를 함께 느끼고 공유하는 능력, (3) 정서 인식은 타인의 정서를 얼굴 표정 등을 통해 인지하는 능력, (4) 귀인은 특정 사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의 개인 차, (5) 사회 지각은 사회적 상황에서의 적절한 행동에 대한 지식 및 사회적 단서를 인식하는 능력이다. 사회 인지는 이처럼 사회적 상황 및 대인 관계와 관련된 인지 능력을 의미하며, 대인관계, 직업 및 사회 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Pinkham & Penn, 2006).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장애와 재활 치료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등급과 장애인에 대하여 (0) | 2022.07.14 |
---|---|
정신재활에 대하여 (0) | 2022.07.11 |
물리치료에 대하여 (0) | 2022.07.09 |
틱장애와 투레트 장애에 대하여 (0) | 2022.07.08 |
불안장애와 강박장애에 대하여 (0) | 2022.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