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6 불안장애와 강박장애에 대하여 *불안장애: 불안장애는 불안, 걱정, 혹은 공포를 느끼는 대상에 따라 그 종류와 증상이 다양함. 우선 특정 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사소하며 전반적인 일 (예: 학업 대해 불안하고 걱정이 많은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를 전반적 불안장애 (혹은 범불안장애)라 함. 아래의 6가지 증상 중 3가지 이상의 증상들을 6개월 이상 경험했다면, 전반적 불안장애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음. a. 안절부절 혹은 긴장이 고조되어 벼랑에 선 느낌이 든다. b. 쉽게 피곤함을 느낀다. c. 집중하기 힘들고 멍해지는 느낌이 든다. d. 쉽게 짜증이 나고 과민반응을 보인다. e. 근육에 긴장감을 느낀다. f. 잠이 들기 힘들거나 계속 깬다. 또한 잠을 많이 자는 날에도 계속 피로감을 느낀다. 전반적 불안 장애와 다르게, 특정한 대상에 대해.. 2022. 7. 7. 지적장애와 지체장애에 대하여 지적 기능과 적응행동의 어려움이 함께 존재하여 교육적 성취와 일상생활에서 제한이 따르는 발달장애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16)에서는 지적 기능과 적응행동상의 어려움이 함께 존재하여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음. 지적장애의 정의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인용되어 온 미국정신지체협회(AAIDD)의 2010년 정의에 따르면, 지적장애는 지적 기능과 개념적·사회적·실제적 적응 기술로 표현되는 적응행동 양 영역에서 유의하게 제한성을 보이는 장애로 18세 이전에 나타남. 지적장애의 출현율은 일반적으로 전체 인구의 1~3%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적장애를 진단하려면 다음 다섯 가지를 충분히 고려해야 함. ① 현재 기능성에서 제한성은 그 개인의 동년배와 문화에 전형적인 지역사회 .. 2022. 7. 6. 자폐증에 대하여 자폐증의 원인은 아이에서 지적장애가 75%에 이를 정도로 흔하고 경련성 질환도 높은 빈도로 발견되는 것이 자폐증의 생물학적 원인론을 보여주는 것임. 현재는 전체 뇌 크기와 측두엽 이상과 연관된 신경해부학적 원인론과 신경전달 물질과 연관된 생화화적 원인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자폐증의 정의: 자폐증은 3세 이전부터 언어 표현-이해, 어머니와의 애착 행동, 사람들과의 놀이에 대한 관심이 저조해지는 양상으로 나타남. 이는 3세 이후에는 또래에 대한 관심의 현저한 부족, 상동증(반복행동), 놀이행동의 심한 위축, 인지 발달의 저하 등이 함께 나타나는 발달 상의 장애이며, 전반적 발달장애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음. 자폐증의 증상: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사회적 상호 작용에 질적인 문제를 보이고 언어와 의사.. 2022. 7. 6. 놀이치료에 대하여 수준에 대한 평가 및 상담이 필요할 수 있음. 놀이 치료의 시술 방법은 첫 2~3회기 때에는 아동 및 부모, 아동의 정서적인 문제와 연관이 있는 주변 사람들과의 사전 면담이 이루어진다. 이후 치료 회기 동안에는 아동만 치료실에 입실을 하게 되고, 본격적인 치료가 진행된다. 치료 초기에는 주로 아동과 치료자와의 관계 형성이 주된 목표가 된다. 자신의 감정을 말로써 잘 표현하지 못하는 미취학 아동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경우는 주로 언어적인 표현보다는 아동이 원하는 놀이로 진행이 되며 치료자는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필요한 치료적 개입을 하게 된다.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치료자가 아닌, 아동이 주도하는 놀이로 진행이 됨. 치료자는 치료 시간 동안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고, 분.. 2022. 7. 5. 이전 1 ··· 33 34 35 36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