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와 재활 치료에 대해

놀이치료에 대하여

by imdanmi 2022. 7. 5.

 수준에 대한 평가 및 상담이 필요할 수 있음. 놀이 치료의 시술 방법은 첫 2~3회기 때에는 아동 및 부모, 아동의 정서적인 문제와 연관이 있는 주변 사람들과의 사전 면담이 이루어진다. 이후 치료 회기 동안에는 아동만 치료실에 입실을 하게 되고, 본격적인 치료가 진행된다. 치료 초기에는 주로 아동과 치료자와의 관계 형성이 주된 목표가 된다. 자신의 감정을 말로써 잘 표현하지 못하는 미취학 아동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경우는 주로 언어적인 표현보다는 아동이 원하는 놀이로 진행이 되며 치료자는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필요한 치료적 개입을 하게 된다.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치료자가 아닌, 아동이 주도하는 놀이로 진행이 됨.

치료자는 치료 시간 동안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하며 필요시 아동 자신의 심리 상태에 대해서 언급해주면서 진행하게 된다. 아동은 놀이 치료 시간 동안 안전하고, 허용적이며 비지시적인 환경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갈등을 표현하고 그러한 감정 상태를 스스로 회복할 수 있도록 치료자가 도와주게 된다. 언어적인 표현이 풍부하고 자신의 감정에 대해서 잘 인지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혹은 청소년의 경우에는 놀이 자체를 매개로 하기보다는 상담 기법을 많이 이용하게 된다. (놀이 치료라는 것은 성인에서 정신 치료와 같은 개념이다. 단순한 놀이가 아니며, 아동이 치료를 통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갈등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치료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나 대략 30분~1시간 정도(1회). 소요되는 시간은 다양하다. 아동의 인지 발달 등을 고려하여 한 회 치료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로 다양하게 이뤄지며 이러한 놀이 치료는 보통 임상에서 시행되는 경우 최소 6개월 정도의 기간을 가지고 진행하게 됨.

놀이치료의 주의사항은 보호자는 치료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할 것.

대부분의 경우 치료 시간은 치료자와 아동이 진료실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특별히 치료 시간에 참여를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 예를 들어 분리 불안이 심한 아이의 경우, 보호자와 놀이 시간 동안 분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아이가 편안하게 잘 분리가 될 수 있는 기간 동안 진료실에 같이 있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치료에서 부모와의 놀이가 필요한 경우에도 진료실에서 같이 놀이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에는 가능하면 치료자와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며, 치료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하는 것이 중요함.

놀이치료의 경과, 합병증은 치료 경과는 다양하다. 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아동의 기질적인 성향, 인지적인 능력 그리고 주변 환경(가족의 정서적 지지, 또래 관계 및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준다. 치료적인 관계가 잘 형성되고 아동의 요인 그리고 외부 환경을 잘 만들어주게 된다면 비교적 좋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단기간에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어렵고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서 효과를 볼 수 있음.

 

'장애와 재활 치료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장애와 강박장애에 대하여  (0) 2022.07.07
지적장애와 지체장애에 대하여  (0) 2022.07.06
자폐증에 대하여  (0) 2022.07.06
운동치료에 대하여  (0) 2022.06.30
지적장애에 대하여  (0) 2022.06.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