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치료란 신체 기능을 호전시키고 일상생활의 수행을 쉽게 하도록 돕는 데 운동을 이용한 치료법을 말함.
운동 치료의 종류에는 가동성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심폐 지구력 운동, 조절 및 협조 운동 등이 있음. 운동 치료를 한마디로 정의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인 운동과 달리 치료로써의 운동은 운동으로 정상적인 일상생활의 요소를 방해하는 조건과 각종 질환에서 환자를 빨리 회복시키고자 하는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해부 생리학적 측면이나 치료적 목적을 고려하여 정의한다면 운동 치료란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한 신경 및 근육 혹은 관절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을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회복, 증진시키거나 보다 나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처방되는 신체의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운동 치료는 치료의 여러 단계에서 시행될 수 있음. 예를 들어 가벼운 요통 환자의 경우 치료 초기에 혹은 전반적인 치료 단계에 걸쳐 운동 치료를 하며,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경우에는 수술 후 단계에서 운동 치료를 함.
가동성 운동
1) 관절 범위 운동 또는 유연성 운동: 관절 범위 운동 또는 유연성 운동은 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운동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 운동을 할 때는 천천히 시행하고 운동 범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켜야 통증을 줄이고, 근육과 인대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관절 범위 운동은 3~5회 반복하고 일주일 최소 3일, 하루에 1~2회 시행한다. 유연성 운동 후 10~30초 정도 정적으로 관절의 늘임을 유지하는 방법도 사용되는데, 이때 수동적 보조, 기계적 보조, 자가 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수동적 보조는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고, 기계적 보조는 어깨 회전판, 머리 위 도르래, 지속 수동운동 기계 등을 이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가 보조 관절 범위 운동은 본인이 지팡이 등을 이용하여 건강한 팔로 아픈 팔의 운동을 도와주는 것을 말함. 스트레칭(stretching)은 병적으로 짧아진 구조를 다시 늘여주는 치료적 방법이다. 자가 신장은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신의 체중을 이용하여 근육과 관절을 늘여주는 방법이다. 수동적 신장은 단축된 구조를 보다 늘여 관절의 운동 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수동적 신장을 하기 전에 전신 이완, 열, 냉, 마사지, 생체되먹임(biofeedback,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신체 증상을 반복 훈련을 통해 완화시키는 방법), 준비 운동, 관절 당김 또는 진동(oscillation) 등을 이용하면 도움이 됨. 골다공증이 심한 환자, 오랫동안 누워 있던 환자, 암환자, 통증이 심한 환자, 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는 스트레칭을 할 때 주의해야 한다. 또한 관절의 움직임이 과도하게 증가된 환자, 부종, 염증, 혈종, 외상, 골절이 있는 환자는 스트레칭을 하면 안 됨.
근력 강화 운동: 근력 강화 운동은 주로 근력을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시행하는 운동. 근력 강화 운동은 조직이 적응되어 있는 상태보다 더 큰 부하를 조직이 피로해질 때까지 가하면 근력이 증가한다는 헬리 브랜드(Hellebrand)의 Hellebrand 과부하 원리를 따름. 근육 또는 관절의 염증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는 동적인 근력 강화 운동은 하지 말아야 하며, 등척성 운동(매달리기처럼 근육의 길이 변화는 없이 단지 긴장만 초래하는 운동)은 부드럽게 시행할 수 있다. 심혈관계 문제가 있는 환자, 복부 수술 환자, 쉽게 피로해지는 환자, 골다공증, 급성 염증 환자들은 근력 강화 운동을 시행하는 데 많은 주의를 요함.
근력 강화 운동을 처방할 때, 세션(session), 세트(set), 반복 횟수(repetition)라는 repetition 용어를 사용한다. 세트는 휴식 시간 없이 한 번에 시행하는 단위를 일컫는 용어이며, 반복 횟수는 한 세트 내에서 시행한 횟수다. 여러 세트가 모여서 세션을 구성하게 된다. 그 예로, 어떤 사람이 팔 굽혀 펴기를 10회 반복하고 1분 쉬었다가 다시 10회를 시행하고서 운동을 마친다면, 팔 굽혀 펴기 운동을 10회 반복 횟수로, 2세트 하는 세션을 1회 시행한 것이라 할 수 있음.
심폐 지구력 운동이란 심폐 지구력 운동은 조건화 또는 전신 지구력 운동으로도 불리며, 저강도의 반복적인 운동을 큰 근육근에 시행하여 심폐의 적응도를 향상하는 것이 목표다. 심폐 지구력 운동을 장기간 시행하면 휴식 시에나 최대하(submaximal, 본인이 최대로 힘을 주기 전) 노력 시 심박수가 감소하고, 혈압이 5~10mmHg 정도 감소한다. 또한 최대(maximal, 본인이 최대로 힘을 줄 때) 노력할 때에는 최고 혈압이 다소 증가하고, 일회 박출량이 20~30ml 증가한다. 휴식기 심박출량에는 큰 변화가 없고 최대하 노력할 때 심박출량은 다소 감소하고, 최대 노력할 때는 10~20% 심박출량이 증가한다. 일정한 부하를 줄 때 하지를 이용한 운동보다 상지를 이용할 때 최대 운동 시 혈압, 심박수, 심박출량 등이 증가한다. 상지 운동 시 심박출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일회 심박출량의 증가 때문이 아니라 심박수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폐 지구력 운동도 근력 강화 운동과 마찬가지로 과부하 원리가 적용됨.
조절 및 협조 운동
조절 및 협조 운동은 근육군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움직이도록 조절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단순한 또는 복잡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운동임. 조절은 각 근육을 의식적으로 움직이거나 이미 프로그램 되어 있는 기억 흔적(engram)을 의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협조 운동의 일반적 원칙은 첫째, 몇 가지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둘째, 촉각, 시각, 고유수용성 감각 등의 감각으로 운동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고, 셋째, 점점 동작의 속도를 증가하는 것임.
'장애와 재활 치료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장애와 강박장애에 대하여 (0) | 2022.07.07 |
---|---|
지적장애와 지체장애에 대하여 (0) | 2022.07.06 |
자폐증에 대하여 (0) | 2022.07.06 |
놀이치료에 대하여 (0) | 2022.07.05 |
지적장애에 대하여 (0) | 2022.06.26 |
댓글